생활문화

“밀가루에 개미가 들어가 다 죽었다”는 표현은 밀가루가 몸에 해롭다는 우려

동행귀의 2025. 5. 2. 23:15

좋은 질문입니다.
밀가루에 개미가 다 죽었다”는 표현은 밀가루가 몸에 해롭다는 우려를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말로, 실제보다는 과장된 속설입니다. 하지만 **정제 밀가루(수입산 포함)**를 과도하게 섭취하면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.


🍞 정제 밀가루의 문제점

문제점설명
🔻영양소 부족 곡물의 껍질(눈‧배아)을 제거해 만들어 식이섬유, 미네랄, 비타민 B군 부족
📈혈당 급상승 당지수(GI)가 높아 혈당을 빠르게 올리고 인슐린 분비 증가
⚠️글루텐 과다 일부 민감한 사람들에게 소화 불량, 염증, 장누수증후군 유발 가능성
🌍수입산 밀의 문제 농약, 방부제, GMO 우려가 있음. 특히 장기 보관 밀에선 방충제 사용 가능성도 있음
 

🐜 ‘개미가 안 온다’는 건 보존제나 살충제가 섞였을 가능성을 의심하는 표현이지만, 실제로는 밀가루 특유의 건조성과 단백질(글루텐) 때문에 개미가 꺼리는 경우가 많습니다.


🌾 우리 밀(국산 밀)의 장점

장점내용
무방부제, 무농약 밀 사용 가능성 높음 유기농 또는 저농약 방식으로 생산된 경우 많음
수입보다 안전한 유통 과정 국내에서 짧은 거리로 이동 → 신선도 및 품질 유지
영양 손실 적은 제분 방식 가능 전립분(통밀) 형태로 제공되면 식이섬유·비타민 B군이 풍부
농가 경제 지원 지역 농업과 식량 주권 강화에 기여
글루텐 함량 낮은 품종 가능 소화가 편한 밀 품종도 일부 존재
 

🎯 기본 대책 및 건강한 밀가루 사용법

① 우리밀 제품 소비 늘리기

  • 우리밀 인증 마크 확인 후 구매 (예: ‘우리밀 마크’, 국산밀 100%)
  • 지역 단위 ‘우리밀빵집’, ‘우리밀 국수’ 등 적극 홍보

② 통밀‧도정 덜한 밀가루 사용

  • 정제밀보다 통밀 또는 반정제밀 사용 → 식이섬유 보충
  • 밀가루 섭취량은 줄이고, 쌀·보리·현미·귀리 등 대체 곡물 병행

③ 밀가루 음식 조리법 개선

  • 튀기지 않고 굽거나 찌는 방식 사용
  • 빵/면에 채소·단백질을 함께 넣어 혈당 급등 방지

④ 아이들 교육과 실천

  • “밀가루를 피하라”가 아니라 “건강하게 먹는 법”을 알려주기
    • 예: 우리밀 피자 만들기 체험, 통밀 팬케이크 교실

✅ 결론

  • 정제 수입 밀가루는 주의가 필요하며, 지나친 섭취는 건강에 해롭습니다.
  • 그러나 우리밀, 통밀 등은 건강한 선택이 될 수 있으며, 밀가루 자체를 나쁘게만 보지 말고 **'똑똑하게 먹는 법'**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